이성영 희년함께 토지정의센터장

30만 청년만 혜택을 보는 청년원가주택

윤석열 당선인의 대표적인 청년주택정책은 청년원가주택 30만 호 공급이다. 청년원가주택은 청년층에게 공공분양주택을 건설원가 수준으로 공급하고, 청년원가주택에 당첨된 청년은 분양가의 20%를 내고 80%는 장기 원리금 상환 조건으로 아파트를 살 수 있다. 당첨된 청년은 5년 이상 거주한 후 주택을 매각할 때 국가에 매각하고 시세차익의 70%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. 쉽게 말해 시세보다 대폭 저렴하게 주택을 구입하게 해 주고, 5년을 거주하면 매매차익의 70%는 개인이, 30%는 국가가 가져가는 주택 유형이다. 청년원가주택은 3기 신도시, 광역교통망 역세권 고밀복합개발지역, 교통 여건이 양호한 신규택지 등에 공급될 예정이기에 청년원가주택 입주자는 당첨만 된다면 순식간에 몇 억의 시세차익을 얻을 가능성이 크다.

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 본다. 계산의 편의상 주변 시세의 60% 수준이 건설원가라고 가정한다. 주변 시세가 5억이면 청년원가주택은 시세의 60%3억에 분양을 받는다. 청년원가주택에 당첨된 청년은 분양가격의 20%6천만 원을 내고 분양가격의 80%24천만 원은 장기원리금 상환 조건의 대출로 조달한다. 5년 후 주변의 집값이 1억이 올랐다고 가정해 보자. 5년 전 주변 시세가 5억이었으니 6억이 되었다. 5년 전 청년원가주택을 처음 분양받았던 청년은 집을 팔려고 한다. 청년원가주택은 주변 시세에 맞추어 6억에 팔 수 있다. 주변 집값은 1억 올랐지만 청년원가주택은 5년 전 주변 시세의 60% 수준으로 3억이었기에 매매 차익이 3억 발생했다. 5년 전 처음 청년원가주택을 분양받은 청년은 매매 차익의 70%21천만 원을 가져간다. 5년 전 자기 자본 6천만 원을 넣고 5년 만에 21천만 원의 수익을 얻었다.

이렇듯 청년에게 상당히 유리한 주거정책이다. 단 조건이 있다. 당첨이 된 청년에게만 유리하다. 윤석열 당선인은 무주택청년들에게 청년원가주택 30만 호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. 대한민국 2-30대 청년인구는 1300만 명이 넘는다. 청년원가주택은 당첨된 30만 가구의 청년들에게는 청년을 위한 정책이겠지만, 당첨되지 못한 수백만 명의 무주택 청년들에게는 박탈감만 안기는 정책일 뿐이다.

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에 제시된 청년원가주택은 수분양자, , 가장 먼저 분양받은 청년만 커다란 시세차익을 누린다. 위치에 따라 다르겠지만 목 좋은 곳에 위치한 청년원가주택에서 가져가는 시세차익은 웬만한 청년의 5년 치 연봉보다 많을 것이다. 정부는 남은 30% 시세차익으로 청년원가주택 초기투입비용을 회수할 계획이라고 하니 두 번째로 청년원가주택에 입주하는 입주자는 주변 시세대로 주택을 구입할 가능성이 높다. 현재 구조대로라면 청년원가주택은 처음 분양받는 30만 명의 청년 외에는 혜택을 보는 청년은 없다.

 

지속가능한 청년주택 모델 : 지분공유형 주택

대한민국의 주택공급정책은 소수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는 구조이다. 나도 언젠가는 청약에 당첨되어 막대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일종의 희망고문이다. 하지만 싱가포르처럼 토지의 80% 이상이 국가소유이고 월급의 1/4 이상을 주택 및 노후 보장을 위한 연금으로 넣지 않는 이상 집을 소유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시세보다 저렴하게 주택을 제공하기는 불가능하다. 청년원가주택은 기존의 로또 방식의 분양정책을 좀 더 강화한 버전에 불과하기에 지속가능하고 모두를 위한 청년주택이라 보기는 어렵다.

현재의 청년원가주택 구조를 다음과 같이 바꿔 보면 어떨까? 건설원가 기준으로 공급하되 정부가 주택의 지분을 50%를 가진다. 입주하는 청년은 자기 자본과 대출을 통해 청년원가주택 분양가의 50% 금액을 자기 자본과 대출을 통해 마련해 청년원가주택의 지분 50%를 가져간다. 정부가 소유한 지분 50%에 대해서는 국고채 조달금리 수준으로 임대료를 책정한다. 5년 후 정부에 매각을 할 때, 자신의 지분만큼 매매차익의 50%를 수분양자인 청년이 가져갈 수 있다. 정부는 수분양자가 지불한 분양가격과 수분양자가 가져간 매매차익의 50%를 더한 가격으로 다음 입주 청년에게 제공한다.

앞서 청년원가주택 계산 사례를 위 방식으로 바꾸어 보자. 수분양자 청년은 청년원가주택 지분의 50%를 취득하기 위해 대출과 자기자본을 통해 15천만 원을 조달한다. 정부 역시 15천만 원을 조달하여 50%의 지분을 확보한다. 5년 후 수분양자 청년이 청년원가주택을 정부에 팔 때 청년은 5년 전 넣었던 지분 50%15천만 원과 매매차익 3억 원의 50%15천만 원을 가지고 간다. 청년은 5년 동안 15천만 원 가량의 자산이 늘어났다. 정부는 6억 원이 된 청년원가주택의 지분 50%를 다음 청년원가주택 입주자에게 3억 원에 판매한다. 두 번째 입주자는 주변 시세의 50% 수준으로 청년원가주택에 입주하는 효과가 있다.

이렇듯 지분의 50%를 정부가 꾸준히 유지하는 방식으로 청년원가주택을 설계한다면 처음 청년원가주택을 분양받은 청년만이 아니라 두 번째, 세 번째 입주자 청년들도 지속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주거를 누리면서 향후 매각 시 주택가격 상승분의 절반 가량의 자산축적 기회를 누릴 수 있다. 청년원가주택은 30만 가구 청년들만을 위한 청년원가주택이 아닌 수백만 가구의 청년들을 위한 주택이 되어야 한다.

 
 
저작권자 ©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